맨위로가기

경주 석빙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석빙고는 조선 영조 14년(1738)에 축조된 얼음 창고로, 현재는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남북으로 길게 2.01m 너비의 입구를 통해 들어가도록 설계되었으며, 내부에는 5개의 아치형 구조(홍예)와 3개의 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은 경사져 물이 배출되도록 설계되었으며, 약 1000여 개의 돌로 정교하게 쌓아 올렸다. 영조 17년(1741)에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으며, 과학적인 설계로 얼음을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주시의 보물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은 굴불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사방불 형식 석조 조각상으로, 각 면에는 아미타불, 약사여래, 석가모니불, 미륵보살이 조각되어 있으며, 창건 설화와 함께 통일신라 시대 조각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 경주시의 보물 - 경주 불국사 대웅전
    경주 불국사 대웅전은 신라 시대에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 후 조선 시대에 중창된 다포계 양식의 건축물로, 창건 당시의 기단과 석조물이 보존되어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높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주 석빙고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개요
경주 석빙고 입구
경주 석빙고 입구
명칭 (한글)경주 석빙고
명칭 (한자)慶州石氷庫
명칭 (로마자 표기)Gyeongju Seokbinggo
상세 정보
지정 종류보물
지정 번호66호
지정일1963년 1월 21일
위치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449-1번지
시대조선시대
소유국유
문화재청 ID12,00660000,37

2. 구조

경주 석빙고는 남북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이며, 남쪽에 너비 2.01m, 높이 1.78m의 출입구가 있다. 출입구로 들어가면 계단을 통해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있으며, 안으로 들어갈수록 바닥은 경사를 이루어 물이 흘러 배수될 수 있게 만들었다. 조선 후기에 축조된 여러 석빙고 중에서도 규모나 기법 면에서 뛰어난 걸작으로 평가받는다.[6]

2. 1. 내부 구조

내부는 직사각형이며 입구에서 안으로 들어갈수록 밑바닥은 경사져 있다. 바닥 중앙에는 배수구가 있어 내부의 물이 이 경사를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내부는 연석(鍊石)으로 5개의 홍예를 틀어 올리고 홍예와 홍예 사이에 길쭉한 네모 돌을 얹어 천장을 만들었다.[6] 벽은 직사각형의 작은 석재로 정연하게 쌓아 올렸고, 밑부분은 장대석을 연결하여 지대석(址臺石)을 삼아 견실하게 축조하였다. 천장에는 3곳에 환기 구멍을 설치하여 바깥 공기와 통하게 하였는데, 조각한 돌로 구멍을 덮어 비와 이슬을 막고 있어 다른 석빙고와는 달리 정연한 양식과 축조를 보여준다. 환기 구멍은 중심부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설치하였는데, 이는 입구가 남쪽에 있어 안으로 내려가는 층계가 몇 단 있어서 그만큼 자리를 차지하고 얼음 창고의 주실(主室)은 좀 더 깊이 들어간 내부의 북쪽에 있기 때문이다. 약 1000여 개의 돌로 이루어져 있다.[6]

3. 역사

조선 영조 14년(1738) 경주 부윤 조명겸이 나무로 된 빙고를 돌로 다시 만들었고, 4년 뒤 서쪽에서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는 내용이 석비와 입구 이맛돌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규모나 기법 면에서 뛰어난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6] 영조 17년(1741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 세웠으며, 원래의 석빙고는 현재 위치에서 서쪽으로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터가 있다.[6] 조선 고종 때까지 석빙고의 얼음을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는 법이 시행되었다.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Gyeongju seokbinggo http://100.naver.com[...]
[2] 웹사이트 Gyeongju Seokbinggo (Stone ice storage in Gyeongju) http://eguide.gj.go.[...] 2011-07-22
[3] 웹사이트 Scientific Invention http://eng.korean.ne[...] The Overseas Koreans Foundation 2008-12-26
[4] 웹사이트 Gyeongju seokbinggo http://100.nate.com/[...] 2011-06-10
[5] 웹사이트 Downtown Gyeongju Vicinity http://www.ktd.co.kr[...] Kyeongbuk Tourism Development Corporation 2012-05-10
[6] 문서 현지 안내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